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중학교 수업
- 도덕발표
- 중학교도덕
- PBL
- 2015개정교육과정
- 도덕수업
- 중학교도덕수행평가
- 배움중심수업
- 도덕1
- 2015교육과정
- 도덕
- 하브루타
- 쓸만한교
- 배움중심활동
- 쓸만한 도덕
- 쓸만한도덕
- 자유학년제
- 교실수업개선
- 발표수업
- 도덕프로젝트수업
- 디딤영상
- 중학교도덕수업
- 프로젝트수업
- 자유학기제
- 도덕2
- 거꾸로교실
- 중학교 도덕 수업
- 중학교 도덕
- 참교사
- 도덕수행평가
- Today
- Total
쓸만한교
[연수 리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새론중 수석 교사 김장환 선생님(2018.03.28) 본문
[연수 리뷰]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새론중 수석 교사 김장환 선생님(2018.03.28)
수요일 수업을 모두 마치고 조금 여유를 부려보려고 했으나...
연수가 있다고 합니다. 쪽지가 왔네요. 이것저것 챙겨서 내려갑니다.
오늘 강사님은 새론중학교 수석교사 김장환 선생님이십니다. 본인을 소개하는 영상으로 ebs에서 제작한 자유학기제 관련 영상을 보여주시는데...
대단하십니다. 확실히 수업에 열정을 가지고 계십니다.
‘나도 저 나이에 저렇게 열정을 가질 수 있을까?’
오늘 핵심적인 주제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수업을 계획할 때 교육과정을 반영해야 하며, 그 중에서도 핵심 역량과 성취기준을 확인해야 한다고 합니다.
15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과 도덕과의 교과별 역량을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네요. 과제가 하나 더 생겼습니다...하하하
이렇게 핵심 역량을 정리한 뒤에 이를 수업 중 과정 평가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내용은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것인데요. 최근에는 평가 항목을 지식, 기능, 태도 세 영역으로 간단하게 구분한다고 합니다.
이 세 가지 영역을 자기성찰평가/모둠 내 동료평가/모둠 간 동료평가에 적용합니다. 구체적으로는 수업 중 기억에 남는 내용이나 모둠 활동을 통해 배운 것 등을 서술하도록 하기도 합니다.
조금 고민스러운 점은 평가의 객관성을 위해서 자기 평가는 최소화하고 모둠 별/모둠 간 평가의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다고 하셨는데, 학생들이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자기 평가도 너무나도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균형을 잡아야할지 다음 모임에서 논의해보도록 해야겠습니다.
마지막으로는 기록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제시해주셨는데요. ‘성취기준’의 일부분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어떻게 서술하는지 풍부한 사례를 제시해주셔서 나중에 참고할 자료가 생겼습니다 ㅎㅎ
이번 연수는 리뷰를 하려는 생각이 없었다가 갑작스럽게 쓰게 되어 내용이 부실하네요.. ㅎㅎ
앞으로 연수 리뷰도 꾸준히 해야겠습니다. 다음에는 더욱 알찬 내용으로!
'쓸만한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수 리뷰] 통일부 통일교육원 제1차 중등교사 기본반(18.5.30.~6.1.) (0) | 2018.06.17 |
---|---|
[연수 리뷰] 다문화 사회의 이해와 우리의 교육적 자세(동아대학교 오성배 교수) (1) | 2018.05.03 |
[연수 리뷰] 제20회 교실수업개선 실천사례 연구발표대회 사전 워크숍 후기(1) (2) | 2018.04.29 |
[연수 리뷰] 2018 인성교육 실천사례연구대회 보고서 작성 연수(2018.4.11) (0) | 2018.04.15 |